|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레드햇 버전확인
- 윈도우 10 슬라이드 종료 단축키 만들기
- 무료 이미지 제공 사이트
- 부자의 그릇 요약
- 업무에 바로 쓰는 SQL
- ie모드 해제
- AIX NFS
- 헤드퍼스트SQL
- 윈도우 10 프리징 해결하기
- 오라클DB팁
- 엑셀에서 콤마를 제외한 숫자 개수 세기
- 붙여넣기 단축키
- OpenSSL 업데이트
- AIX 버전확인
- 스타워즈 영화 감상 순서
- 잘라내기 단축키
- 윈도우10 먹통현상 해결하기
- POP폰트
- net user 사용법
- 복사 단축키
- 삼성멀티캠퍼스SQL
- 메타버스 용어
- 작업표시줄 먹통현상 해결하기
- 금리와 물가와의 상관관계
- 토익 lc 학습법
- AIX NAS NFS
- javascript redirection code
- 바탕화면에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바로가기 만들기
- 한글 기호 자동변환 해제
- 롤오버 기간을 설정한 비밀번호 마이그레이션 방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8)
Today is Present.
SELECT * FROM 테이블명; 으로 쿼리를 날리다보면, 해당 테이블에 속한 특정 컬럼명을 조건절로 걸고 싶을 때가 많다. 그런데, 정작 테이블의 컬럼명을 모르니, 무턱대고 아는 SQL 문이라고는 SELECT * FROM 테이블명이라서 우선 던지고 본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근데, 몇 만 라인의 결과값을 뿌려대는 에디터를 보고 있노라니, 내가 너무 시스템에 무리를 주나 싶어 약간 알은체로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ROWNUM = 1; 을 던지고, 1줄 나오길 기다리며, 이후 컬럼을 확인 한다. 근데, 이것도 아닌것 같아 오늘은 테이블에 있는 컬럼 조회 방법을 구글링 했다. 내 블로그에 남기지만, 과연 습관적으로 ROWNUM = 1; 조건절이 아닌 기록된 SQL 구절..
책의 문장들이 잘 안읽히는 걸 보면, 책의 내용이 어렵거나 문장이 자연스럽지 못한 전개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나의 금융, 경제 상식이 턱없이 부족함 때문일 수도 있다. 이게 더큰 원인이라 자책한다. 요즘 갈수록 책을 읽으면서 2배속으로 읽으려고 두뇌에 피가 몰리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읽다보면 머리가 아프다 ... 리플레이션은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났지만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로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골디락스라고도 하죠. 골디락스는 「곰 세 마리」라는 동화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으로, 곰 가족이 끓여서 담아놓은 죽 중에서 너무 뜨거운 아빠곰의 죽과 너무 차가운 엄마곰의 죽은 먹지 않고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아기곰의 죽을 먹습니다. 여기에서 유래한 말로 뜨뜻미지근한 경기 상황..
사내에서 AIX 서버에 특정 툴을 설치하려다가 해당 AIX의 버전이 궁금해졌다 관련해서 우선 쓸 수 있는 명령어는 oslevel -s 이며 이것에 대한 결과값은 "0000-00-00-0000" 형식으로 나오게 된다. 이것을 예시를 들어 해석해보자면 # oslevel -s > 6100-05-09-1228 - 6100 : AIX 6.1 버전 의미 ( 5300 -> 5.3 , 7100 -> 7.1 - 05 : TL (Technical level) 혹은 ML (Mechanical Level) 의미 > TL을 올리게 되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의 신규 서비스 기능 추가됨을 의미 - 09 : SP (Service Pack) > SP는 보안관련 사항이나 버그 Fix 등을 의미, 패치 개념 - 1228 : 2012년 2..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시간선호율(the rate of time preference) 측면에서 금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지금 제가 100만 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돈으로 가족 혹은 친구들과 점심을 맛있게 먹을 수도 있고, 쇼핑을 즐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돈을 은행에 맡겼다면 현재의 소비를 참는데 대한 대가를 받아야 합니다. 그 대가가 바로 금리라는 것입니다. 가끔 언론에서 물가상승률이 높아져서 금리도 상승한다는 보도를 보셨지요? 물가가 오른 만큼 보상받아야(보상 금리도 상승해야) 우리가 저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낮다면,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맡기지 않고 지금 써버리게 됩니다. 출처: 금리와 환율 알고 갑시다 - 김영익 著 (예스24 미리보기) 이 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