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삼성멀티캠퍼스SQL
- 바탕화면에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바로가기 만들기
- 복사 단축키
- 업무에 바로 쓰는 SQL
- 붙여넣기 단축키
- AIX NFS
- 작업표시줄 먹통현상 해결하기
- 금리와 물가와의 상관관계
- 스타워즈 영화 감상 순서
- AIX NAS NFS
- 오라클DB팁
- 부자의 그릇 요약
- javascript redirection code
- 레드햇 버전확인
- 헤드퍼스트SQL
- 윈도우 10 프리징 해결하기
- 롤오버 기간을 설정한 비밀번호 마이그레이션 방법
- ie모드 해제
- 한글 기호 자동변환 해제
- 잘라내기 단축키
- 윈도우 10 슬라이드 종료 단축키 만들기
- 윈도우10 먹통현상 해결하기
- 오라클팁
- OpenSSL 업데이트
- net user 사용법
- 메타버스 용어
- POP폰트
- AIX 버전확인
- 무료 이미지 제공 사이트
- 엑셀에서 콤마를 제외한 숫자 개수 세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3)
Today is Present.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는 어째서 필요한 데이터가 전체 데이터의 15% 미만’이라고 하는 걸까? 그 이유는 시퀀셜 액세스와 랜덤 액세스의 특성에 있습니다. 테이블의 데이터가 대량이고 그중 한 개의 로우(행)를 꺼내야 한다면 당연히 인덱스를 통한 액세스가 빠릅니다. 그에 비해 모든 데이터를 보려고 할 때 매번 인덱스를 찾은 후 데이터를 찾아가면 오히려 속도가 느려집니다(색인을 일일이 찾아가면서 책의 내용 전체를 읽는 독자분은 안 계실 겁니다). 만약 데이터가 50%라면 어떨까요?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디스크에서의 랜덤 액세스는 데 이터를 읽어오는 효율성이 시퀀셜 액세스보다 떨어진다’라는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테이 블에 2만 건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고 그중 절반인 1만 건을 꺼낸다..
자신의 그릇을 키우고 돈과 인생의 주인이 되는 법 "돈은 그 사람을 비추는 거울이야." 돈을 어떻게 쓰는지를 보면 그 사람의 습관, 라이프스타일, 취미와 취향 등을 알 수 있다. 시험 삼아 한 달 동안 자신이 사용한 돈의 영수증을 모아서 누군가에게 보여줘보자. 아마 그들은 당신의 식생활, 행동 범위, 취미, 성격까지 대부분 유추해낼 것이다. 즉, 돈이란 사고와 행동의 결과가 그대로 드러난 산물이며, 우리의 사고방식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돈이란, 신용을 가시화한 것이다." 신용은 지난 행동들의 결과이고, 지난 행동은 하루하루 사고해온 결과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가진 순간, 언제 어떻게 쓸지를 생각한다." 돈을 다루는 능력은 경험을 통해서만 키울 수 있다. 돈은 '믿음'으로부터 생..

요즘 쿠버네티스를 학습하고 있다. 쿠버네티스 kubectl command를 입력하면서 parameter 로 -- 를 입력하게 된다. 한글 2018에서 -- 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긴 대시로 자동 변환되어 귀찮아진다. 이 부분을 자동변환을 해제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1. Shift + F8키를 누른다. "빠른 교정 내용"이라는 창이 뜬다. (도구 - 빠른 교정 - 빠른 교정 내용) 2. 창에서 "입력 자동 서식" 탭을 누른다. 3. "입력 자동 서식"에서 하이픈(-)을 대시(-)로 바꾸기 체크 해제 한다. 4. 자동 번호 매기기를 해제하는 방법도 같다.